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한의사 엄마는 무엇을 해줬을까요?
감기에는 약을 안 먹고 넘길 수 있지만, 해열제도 안 먹이고 넘기기는 무섭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지요? 하지만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열이 나는 것은 기침을 해서 가래를 내보내려고 하는 것처럼, 아이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해내는 기특한 증상이에요.
몸 속에 들어온 감기 바이러스 혹은 세균과 싸우기 위해서는 많은 백혈구가 필요하게 되지요. 이때 필요한 백혈구가 더 많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체온이 상승되어야 하거든요. 즉 아군을 더 잘 생상하기 위해서 열이 나는 것이지요. 그러니 해열제를 먹이는 것 뿐만 아니라 아이 몸을 젖은 수건으로 닦아주거나 열을 내려주게끔 노력할 필요가 없어요.
물론 열이 있어서 아이가 힘들어 보이죠. 그런 아이를 지켜보는 부모 마음이 쉽지는 않겠지만 정말 아이를 생각한다면 열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해열제를 먹이거나, 해열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잘 싸워내서 더 건강한 아이가 될 수 있도록 탈수 등이 생기지 않는 정도로 간호해주면서 지켜봐 주는 것이 필요해요.
또 우리의 걱정과는 달리 감기로는 40도를 넘게 열이 오르기는 쉽지 않고, 그 보다 낮은 온도의 열은 아이에게 어떤 손상을 끼치지 않아요. 머리가 나빠진다거나 하는 것들은 속설이에요. 간혹 열성 경련을 걱정하시는 경우도 있는데 열로 생기는 경련은 위험하지 않아요. 열이 무섭듯이 경련하는 그 증상이 엄마 아빠에게 무서울 뿐이지 아이에게 위험한 것은 아니에요. 그리고 이 열성 경련은 얼마나 온도가 높아서 생기는 증상이 아니라, 단기간에 체온이 상승 될 때 발생되는 것으로 우리아이가 이미 열이 난다는 것을 인지한 다음에는 체운이 이미 상승된 이후 이므로 열성경련이 생겨날 기간은 이미 지난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감기에 해열제 사용하지 않기
감기를 통해서 더 건강한 아이가 되려면, 열이 나는 것을 되려 감사하게 생각해야 해요. 발열을 하게 되면 그 순간만큼은 우리 몸에서 면역력이 엄청난 증가가 일어나요. 그래서 그 동안 몸에 있던 나쁜 독소들이 제거되는 시간이기도 하지요. 특히 아토피 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라면 해열제를 먹이지 않고 열을 넘기고 나면 아토피가 더 좋아질 거에요. 열을 통해서 면역시스템이 다시 한 번 설정되고 노폐물도 없어지게 되니까요. 아토피, 비염 등의 면역력 교란에 의해 생긴 질환 등이 있는 소아 환자들이 한의원에 오면 제가 제일 먼저 환자의 보호자들과 약속 했던 부분 중에 하나도 ‘감기에 해열제 사용하지 않기’였어요.
물론 열이 40도 이상의 고열이거나, 감기 이외의 다른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는 해열제 복용 뿐만 아니라 치료를 해야 하지요. 그리고 유소아에겐 열 자체보다 열로 인한 탈수가 더 위험하니 기저귀를 잘 체크하고, 소변량을 잘 검사해서 탈수가 생기지 않게 수분보충을 꼭 해줘야 해요.
그렇다면 진료실이 아닌 제 아이가 열이 났을 때는 어떻게 했을까요? 열이 오르자 옷을 벗겨서 해열을 해야 한다는 친정 어머니를 말려서, 옷을 춥지도 덥지도 않게 입혔어요. 옷을 벗기고 냉수 찜질을 하면 당장 아이의 체표의 온도는 떨어질 수 있지만, 찬 온도에 의하여 말초 혈관이 수축되어 심부가 더 뜨거워 질 수 있으니 그럼 더 위험해지니까요.
계지탕(桂枝湯)을 먹였어요
계지탕은 따뜻한 성질의 약이에요. 아이에게 땀을 내서 열을 빼내려는 목적이지요. 인위적인 해열제가 아닌 혈액순환을 도우면서, 체표의 구멍을 열어서 땀을 나게 하는 약이에요. 그러니 체온을 상승시켜 백혈구 증가를 하려고 했던 아이의 면역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아이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아이에게 수시로 물을 먹을 수 있게 도와줬어요. 물론 또래의 다른 친구들에 비해서 열이 나거나 아픈 횟수가 적지만, 아프고 난 뒤에도 아이의 면역력은 한 단계 더 강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제가 해주는 방법이에요.
감기걸린 우리아이 엄마가 해줘야 할 일
대부분 아이가 감기에 걸려서 콜록거리고, 콧물을 줄줄 흘리고, 열이 나는데 지켜만 보고 있으면 나쁜 엄마라고 생각이 드실 거에요. 그렇지만 약을 주는 것은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니 무얼해야 할지 고민이시죠? 벌 것 없어요. 아이를 푹 쉬게 해주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는 치료법이에요.
높은 습도 적당한 온도 유지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높은 온도는 오히려 해가 돼요.
수분 보충
열감기 보다 무서운 것은 탈수에요. 그리고 수분 보충이 잘 이루어 져야 감기를 빨리 이겨낼 수 있어요. 기침감기를 낫게 해주는 것도 물이구요.
아이의 위를 편안하게
비타민 복용시키겠다고 무리하게 찬 과일을 많이 먹이지 마세요. 아이가 아프면 위도 기능이 떨어져서 찬 과일이나, 고기등의 육류는 소화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요.
많이 안아주고 세심히 지켜봐주기
가장 좋은 의사는, 텔레비전에 나온 명의도 아니고, 좋은 대학을 나온 선생님도 아니에요. 아이를 가장 잘 아는 엄마만이 아이의 미세한 변화를 금방 알아챌 수 있어요.